안녕하세요:)
오늘은 만3~5세의 어린이들이 받을 수 있는
유아학비, 보육료 지원에 대해
알아보겠습니다.

만 3~5세 누리과정 지원
- 지원대상 : 누리과정 유아학비 또는 보육료 지원 자격을 신청한
국,공,사립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다니는
대한민국 국적의 만 3~5세 유아
* 만5세 : 2017.1.1~2017.12.31.
만4세 : 2018.1.1.~2018.12.31
만3세 : 2019.1.1~2020.2.29.
(취학대상 아동(2016.1.1.~2016.12.31. 출생)이 취학을 유예하는 경우
유예한 1년에 한해서만 무상교육비 지원 /
단, 유예에 대한 무상교육비 지원 기간은 3년 초과 불가
- 지원내용 : 보호자의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전 계층 유아학비, 보육료, 방과후 과정비 지원

* 상기 단가는 유아가 교육일수 등의 조건을 충족했을 때 받을 수 있는 유아 1인당 월 최대 지원 금액임(‘23년 기준)
- 지원방법 : 전국(가까운) 읍면동 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에 방문 신청 /
복지로(www.bokjiro.go.kr)에서 신청
- 문의 : 서비스 이용 신청 및 보육료는 보건복지상담센터(전화 129),
유아학비는 에듀콜센터(전화 1544-0079)
- 기타사항
* 지원기간 : 만 3~5세 누리과정 무상교육 기간은 3년을 초과할 수 없음
* 지원 제외 : 31일 이상 해외체류 유아는 출국일 이후 유아학비 지원 자격 중지,
자격 중지 후 다시 지원받기 위해서는 재신청 필요
* 중복지원 불가 : 유치원(유아학비), 어린이집(보육료), 가정양육(양육수당) 및
유치원 이용시간 중 아이돌봄서비스는 중복지원이 불가하며,
보호자의 서비스 이용 신청에 의해서만 효력 발생
* 소급지원 불가 : 유치원(유아학비), 어린이집(보육료) 간 이동 시
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(행정복지센터) 방문 또는
복지로 누리집(www.bokjiro.go.kr)에서 서비스 변경 신청을 해야 하며,
지원금은 신청일로부터 지원
'정책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출산혜택 출생신고 후 혜택 만 0~2세 보육료 지원 정리 (0) | 2023.07.24 |
---|---|
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 & 출산육아기 고용안전장려금 알아보기 (0) | 2023.07.22 |
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지원 & 육아휴직 급여 지원 알아보기 (0) | 2023.07.21 |
출산전후(유산,사산) 휴가 급여 지원 &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지원 (0) | 2023.07.20 |
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&영양플러스 사업 알아보기 (0) | 2023.07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