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 :)
오늘은 출산, 유산, 사산 휴가급여 지원에 대해서
알아보겠습니다.

출산전후(유산,사산)휴가 급여 지원
- 지원대상 : 「근로기준법」상 출산전후휴가를 부여받은 근로자로서
다음의 요건을 갖춘 경우
* 휴가가 끝난 날 이전까지의
고용보험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
(피보험 단위기간 : 고용보험 피보험기간 중 보수 지급의 기초가 된 날의 수)
* 휴가가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 신청
- 지원내용
1. 출산전후휴가
- 지원일수 : 우선지원 대상기업 근로자는 출산휴가기간 90일
(쌍둥이는 120일) /
대규모 기업 근로자는 출산휴가기간 중 마지막 30일
(쌍둥이는 45일)
- 지원금액 : 휴가 시작일 기준 통상임금
(상한액 30일 기준 210만원, 하한액 최저임금) /
우선지원 대상기업 근로자는 90일 기준 최대 630만원(쌍둥이는 840만원),
대규모 기업 근로자는 30일 기준 최대 210만원(쌍둥이는 315만원)
* 휴가 중 최초 60일(쌍둥이 75일) 기간의 통상임금과 상한액 간의 차액분은 사업주가 지급
2. 유산사산 휴가
- 임신기간에 따라 5~90일까지 휴가 및 급여 지원
- 지원방법 : 고용센터 또는 고용보험 누리집에서 신청
- 문의 :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(전화 1350) 또는 고용보험 누리집(www.ei.go.kr)
- 기타사항 : 정규직뿐 아니라 단기간근로자를 포함한 비정규직 근로자 등
임신한 여성 근로자라면 누구나 근속기간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.
다만, 출산전후 휴가 기간 중 근로계약 만료 등의 이유로
계약이 종료되면 출산전후휴가도 종료.
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지원
- 지원대상 : 배우자 출산휴가를 사용한 우선지원대상기업 근로자 중
다음의 요건을 갖춘 경우
- 휴가가 끝난 날 이전까지의 고용보험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
- 휴가가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 신청
- 지원내용 : 배우자 출산휴가 10일 중
최초 5일 통상임금에 해당되는 금액 지급
(상한액 40만 1,910원, 하한액 최저임금)
* 최초 5일분 통상임금과 상한액 간의 차액분은 사업주가 지급
- 지원방법 : 고용센터 또는 고용보험 누리집에서 신청
- 문의 :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(전화 1350), 고
용보험 누리집(www.ei.go.kr)
'정책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지원 & 출산육아기 고용안전장려금 알아보기 (0) | 2023.07.22 |
---|---|
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지원 & 육아휴직 급여 지원 알아보기 (0) | 2023.07.21 |
산모·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&영양플러스 사업 알아보기 (0) | 2023.07.19 |
첫만남이용권(국민행복카드) 알아보기 (0) | 2023.07.17 |
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내용 총정리 (0) | 2023.07.16 |